본문 바로가기
Algorithm Study/Programmers

[프로그래머스] 멀리뛰기 (C#)

by HanaV 2023. 7. 27.
728x90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14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효진이는 멀리 뛰기를 연습하고 있습니다. 효진이는 한번에 1칸, 또는 2칸을 뛸 수 있습니다. 칸이 총 4개 있을 때, 효진이는
(1칸, 1칸, 1칸, 1칸)
(1칸, 2칸, 1칸)
(1칸, 1칸, 2칸)
(2칸, 1칸, 1칸)
(2칸, 2칸)
의 5가지 방법으로 맨 끝 칸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멀리뛰기에 사용될 칸의 수 n이 주어질 때, 효진이가 끝에 도달하는 방법이 몇 가지인지 알아내, 여기에 1234567를 나눈 나머지를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4가 입력된다면, 5를 return하면 됩니다.

 

이 문제는 피보나치 수열로 접근하면 된다.

n=0 : (0) -> 1
n=1 : (1) -> 1
n=2 : (2) (1,1) -> 2
        => (n[0], 2) (n[1], 1)
n=3 : (2,1) (1,2) (1,1,1) -> 3
        => (n[1], 2) (n[2], 1)
n=4 : (2,2) (2,1,1) (1,2,1) (1,1,2) (1,1,1,1) -> 5
        => (n[2], 2) (n[3], 1)
n=5 : (n[3], 2) (n[4], 1)

이렇게 n=2 이상인 경우, 이전 값 두 개에 2, 1을 이어붙인 것과 같다.

예를 들어 n=4인 경우를 보자면,

(2,2) (2,1,1) (1,2,1) (1,1,2) (1,1,1,1) 의 경우로 총 5가지인데, 이는

(2,1,1) (1,2,1) (1,1,1,1) -> 하늘색은 n=3인 경우의 수
(2,2) (1,1,2)  -> 보라색은 n=2인 경우의 수

이렇게 나누어지고, 결국 이전 경우의 수 2개를 합한 것과 같다. (=== 피보나치 수열)

이것만 파악하면 코드는 쉽게 짤 수 있다.

using System;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
        int MOD = 1234567;
        int[] count = new int[n + 1];
        count[0] = 1;
        count[1] = 1;

        for (int i = 2; i <= n; i++) {
            count[i] = (count[i - 1] + count[i - 2]) % MOD;
        }
        return count[n];
    }
}

(MOD는 .. mod 26은 26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말한다. 암호학에서 잠깐 배웠었는데, 이 문제 같은 경우는 1234567으로 나눈 나머지값이기 때문에 mod 1234567을 해주었다.)

728x90

"); wcs_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