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198

[Java] final()과 public static final final은 말 그대로 마지막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final() 메소드를 선언하는 것은 오버라이딩을 할 수 없는 메소드임을 선언하는 것과 같다. 즉 상속받을 수 없는 메소드가 된다. final은 필드에 선언되면 변경할 수 없는 상수가 된다. 만약 a를 final int a = 3; 이라고 선언하면, a값은 이제 변하지 않는 상수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를 잘 활용하면 public static final로 선언을 하면 프로그램 전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수가 된다. public static final double PI = 3.14; 이렇게 선언되면 이제 PI는 프로그램내에서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고(클래스이름.PI로 사용하면 된다), 항상 3.14가 된다. 2023. 4. 9.
DB설계) 학생 테이블과 성적 테이블 설계하기 1. 데이터베이스 설계하기 db 이름: student_db 1) 학생 테이블 열 이름 student_info 데이터타입 최대길이 null 허용 여부 이름 student_name char 5 x 학년 student_grade tinyint 1 o 학번 (PK) student_number int 8 x 성별 student_gender char 6(Male/Female) x 생년월일 student_birth date YYYY-MM-DD x 학과코드 (FK) major_code smallint 3 x student_grade는 1~4까지만 표기되므로 tinyint 타입을 선택했고, 학과코드는 세 자리 정수로 설정해서 smallint 타입을 선택하였다. 2) 과목 테이블 열 이름 subject_info 데이터타입.. 2023. 4. 9.
[SQL Server] 테이블 만들기 1.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고 사용하기 (create) (MySQL과 동일) create database product_db; use product_db; 2. 테이블 만들기 (create) 테이블을 생성할때는 열이름과 데이터타입 null허용여부 (PK); 로 적어주면 된다. SQL Server는 유니코드가 포함된 nchar, nvarchar 사용을 권장한다. create table product ( product_name nvarchar(20) not null primary key, product_price int not null, product_made date not null, product_company nvarchar(20), product_num int ); 만약 열의 이름을 변경하고 싶다면 sp.. 2023. 4. 7.
SQL 데이터 타입 정리 CHAR (고정문자형) 고정 길이의 문자열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공백으로 채워진 나머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장점: 여러 데이터에 접근할 때 빠르며, 크기가 변하지 않는 데이터에 적합하다. 예시: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항상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에 적합하다. VARCHAR (가변문자형) 가변 길이의 문자열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실제 데이터만을 저장한다. 불필요한 공백은 저장하지 않는다. 장점: 저장 공간을 아낄 수 있으며, 데이터 크기가 변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예시: 사용자 이름, 주소 및 설명과 같이 길이가 다양한 데이터에 적합하다. INT (정수) 특성: 32비트 정수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부호 있는 정수를 나타낸다. 예시: 나이, 주문 수량 및 식별 번호와 같은 정수값에 적합하다. BIG.. 2023. 4. 7.
DB설계) 직원 테이블과 급여 테이블 설계하기 1. 데이터베이스 설계하기 db 이름: employee_db 1. 직원 테이블 열 이름 employee_info 데이터타입 최대길이 null 허용 여부 이름 emp_name char 5 x 사원번호 (PK) emp_code char 10 x 생년월일 emp_birth date YYYY-MM-DD o 성별 emp_gender char 6 (Female) o 입사일 emp_start date YYYY-MM-DD x 부서번호 (FK) team_code char 3 x 직급 emp_level char 5 x 급여 emp_pay bigint x 성과금 emp_bonus bigint o 2. 부서 테이블 열 이름 team_info 데이터타입 최대길이 null 허용 여부 부서번호 (PK) team_code char .. 2023. 4. 7.
소프트웨어의 구성과 출시 버전 SW : OS, App, Programming Language OS: Windows Unix(Linux), Android, Mac 앱: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os 를 제외하고 돌아가는 것들이 모두 앱이라고 보면됨 >>데이터베이스 툴: Oracle DB, SQL Server, MySQL, MariaDB PL(Programming Language): C, C++, Java, C# .. (웹에서는 JSP, PHP, JavaScript .. ) 가상머신: windows 10, window server 2022 .. 소프트웨어 버전 Alpha 버전: 치명적 버그 가능, 사용자가 사용하면서 생기는 버그를 잡으려고 출시함 Beta 버전: 자잘한 버그 가능 RC: 버그 거의 없음 Preview: 완성과.. 2023. 4. 7.
[Java] 접근제한자와 public static void 뜻 접근제한자란, 변수 및 객체(class, interface) 앞에 선언함으로써 외부 코드에서 접근 범위를 통제한다. 쉽게 말하면, 객체에 다른 객체가 접근하는 것을 허용할지 말지 지정해 준다. 종류 기능 public 패키지 상관 없이 모든 외부 코드에서 접근 가능 private 외부에서 클래스 변수에 직접 접근할 수 없고, 클래스의 메소드를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 상속받은 클래스에서도 접근이 불가능 protected 동일한 패키지의 클래스들과 상속받은 클래스에서만 접근이 가능 default 동일한 패키지 내의 클래스들만 접근 가능, 키워드는 생략 가능 public static void (String[] args) { ... 접근제한자가 들어가는 자리이다. 클래스는 public 클래스와 default 클래.. 2023. 4. 6.
[Java] Garbage와 Garbage Collection 이해하기 Garbage란, 자바 응용 프로그램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객체나 배열 메모리를 뜻한다. 즉, 응용프로그램이 더 이상 접근할 수 없는 객체는 garbage가 되는 것이다. 예시 코드로 이해를 해보자. a = 3; b = 9; b = a; System.out.println(b); console 3 b는 원래 9였으나, b에 a값을 넣음으로써 이제는 b는 예전 값인 9가 사라지게 된다. 이때 9는 garbage가 되는 것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자연스럽게 garbage가 점점 많아지게 되고, 그럼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그래서 자바 플랫폼은 가용 메모리가 일정 크기 이하로 줄어들면 자동으로 garbage를 회수해서 가용 메모리를 늘린다. 이것을 garbage collection이라.. 2023. 4. 6.
728x90

"); wcs_do();